맨위로가기

비관세 장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관세 장벽은 관세 외에 무역을 제한하는 모든 종류의 조치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는 보호무역주의 심화와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의 배경이 되었다. 현재는 기술 규제, 위생 검역, 환경 기준, 정부 조달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유 무역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비관세 장벽은 소비자에게 가격 하락 등의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다른 측면에서 불이익을 초래할 수도 있다. 비관세 장벽은 보호주의, 지원, 비보호주의 정책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엠바고, 환율 통제, 수입 면허, 할당량, 표준 등이 그 예시이다. 각국은 자국 산업 보호, 공중 보건 및 환경 보호 등을 명분으로 비관세 장벽을 사용하며, 이에 대한 비판과 옹호 논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관세 장벽 - 경제 제재
    경제 제재는 국가 간 외교 수단으로, 특정 국가의 정책 변화를 유도하거나 국제 규범 위반에 대응하기 위해 무역, 금융, 여행 금지 등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며, 대상 국가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시민에게 부수적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비판과 함께 효과 및 인도적 영향에 대한 논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 비관세 장벽 - 수입 할당제
    수입 할당제는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특정 상품의 수입 수량을 제한하는 무역 정책으로, 과거 보호 무역 정책으로 활용되었으며, 현재도 여러 분야에서 자국 산업 보호 및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된다.
  • 무역 정책 - 자유 무역
    자유 무역은 관세나 수입 할당량 없이 재화와 서비스를 교역하는 것으로, 비교우위 이론에 따른 경제적 이점이 있지만 소득 불평등 심화, 환경 문제 악화, 개발도상국 착취 등의 비판과 보호무역과의 대립, 무역 협정과 국제적 분쟁을 야기하기도 한다.
  • 무역 정책 - 세계 무역가능 보고서
    세계 무역가능 보고서는 세계 경제 포럼에서 각국의 제도, 정책, 인프라, 서비스 등을 평가하여 무역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기업의 국제 무역 참여와 성장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경제 성장 촉진, 경쟁력 강화, 정책 개선, 투자 유치 등에 활용된다.
  • 세계 무역 기구 - 관세 무역 일반 협정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은 국제무역기구(ITO) 설립 실패 후 대안으로 등장하여 관세 인하와 무역 자유화를 목표로 다각적 무역 협상을 주도했으나, 세계무역기구(WTO) 설립 후 기능을 이관하고 1995년 종료된 다국적 무역 조약이다.
  • 세계 무역 기구 - 우루과이 라운드
    우루과이 라운드는 GATT 체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세계 무역 시스템을 개혁하기 위해 1986년부터 1994년까지 진행된 다자간 무역 협상으로, 농업 보조금 감축, 서비스 및 지적 재산권 무역 개방, WTO 설립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1995년 WTO 출범과 함께 종료되었으나,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이해관계 충돌 및 불균형 문제를 야기했다는 비판도 있다.
비관세 장벽
무역 장벽
정의상품 또는 서비스의 국제 무역을 제한하는 관세 이외의 조치
수입이나 수출을 더 어렵게 만들거나 비용을 증가시키는 정부 규제
목적국내 산업 보호
소비자의 안전 및 건강 보호
국가 안보 유지
유형
수량 제한수입 할당제
수출 자율 규제
수입 금지
가격 통제덤핑 방지 관세
상계 관세
최소 수입 가격
기술 장벽위생 및 식물위생 규정 (SPS)
기술 규정 및 표준
적합성 평가 절차
기타 장벽수출 보조금
국내 콘텐츠 요구 사항
복잡한 통관 절차
지적 재산권 보호의 미흡
정부 조달 정책의 차별
영향
무역 흐름 왜곡특정 국가 또는 산업에 유리하게 작용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 저해
가격 상승수입품 가격 상승
소비자 부담 증가
선택의 폭 축소수입품의 다양성 감소
소비자 선택 제한
비효율성 초래국내 산업의 혁신 저해
생산성 감소
논쟁
찬성국내 산업 보호
일자리 창출
국가 안보 강화
반대소비자 후생 감소
경제 성장 저해
보호 무역주의 심화
국제 협정
세계 무역 기구 (WTO)무역 장벽 감축 노력
투명성 및 예측 가능성 제고
분쟁 해결 메커니즘 제공
지역 무역 협정특정 국가 간 무역 장벽 철폐 또는 감축
자유 무역 협정 (FTA)
관세 동맹
추가 정보
유엔 무역 개발 회의 (UNCTAD)비관세 조치의 무역 비용이 관세의 두 배 이상
개발 도상국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세계 무역 기구 (WTO)비관세 장벽 관련 정보 제공
무역 원활화 협정
기술 지원 제공

2. 역사적 배경

대공황 당시, 각국은 보호주의로 기울어 블록 경제가 형성되었고, , , , 수준의 규모를 가진 세력권을 가지지 못한 , , 동유럽 국가들에서 침략적 성향이 대두하여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의 원인이 되었다. 경제학적 관점에서는 자유무역이 경제성장을 극대화하는 체계이며, 대공황 시대의 블록 경제화는 대공황을 악화시켰다는 견해가 주류를 이룬다. 따라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유무역이 서구 세계의 명분이 된다. 하지만 기업, 노동조합, 농민 등은 각국 정치가들의 강력한 지지 기반이며, 그중 비교우위에 없는 산업 관계자들은 수입 억제를 요구하며 정치가들에게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환경 보호·노동자 보호·생산자 보호 정책 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입에 대한 제한을 둘 필요가 있으며, 비관세 장벽은 불가피한 악이라는 주장이 생겨났다.

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사례들이 있었다.


  • 공중보건을 지키기 위해 일정 수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식품이나 농산물의 수입을 허용하지 않음
  • 노동자 착취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제품을 노동 덤핑 상품으로 배제함(페어트레이드)
  • 종교적 이유(계율, 타부)로 규범에 위배되는 제품을 배제함
  • 정부 조달 대상을 사실상 국내 기업으로 제한함
  • 국내 판매 제품의 일정 비율 이상의 부품에 국내 생산품(로컬 콘텐츠) 사용을 의무화함
  • 자국 문화 육성을 위해 텔레비전 방영 및 영화 상영에서 수입 콘텐츠 비율 제한을 설정함(스크린쿼터)


최근에는 특히 다음과 같은 사례들이 나타난다.

  • 장애인 보호를 하지 않는 국가·지역에서 제조된 제품을 배제함
  • 환경 오염 대책을 충분히 시행하지 않는 국가·지역에서 제조된 제품을 배제함
  • 유전 공학(소위 바이오테크놀로지)적 방법을 사용한 농/축산물을 배제함
  • 자원 관리 국제 협정을 준수하지 않는 국가·지역에서 어획된 수산물(참치가 대표적인 예)을 배제함


이에 대해 자유무역의 입장에서는 "''자국의 정당화를 위해 비경제적 문제를 악용하고 있다''" 등의 반론이 제기되는 경우가 많으며, 많은 사례에서 당사국 간 분쟁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무역 마찰로 발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관세 장벽 철폐로 소비자는 상품 가격 하락 및 가성비 향상과 같은 이점을 얻는다. 반면, 식품의 제조일 표시 의무는 수입 식품에 불리한 비관세 장벽으로 여겨져 유통기한만 표기하는 것으로 제도가 변경된 사례가 있는 것처럼, 다른 측면에서 소비자가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2. 1. 관세에서 비관세 장벽으로의 전환

선진국들이 관세에서 비관세 장벽(NTBs)으로 전환한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국가는 재정 확보를 위해 관세를 활용했지만, 선진국들은 관세 이외의 소득원을 확보하면서 관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개발도상국들이 여전히 재정 수입의 상당 부분을 관세에 의존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또한, 선진국들은 비관세 장벽을 통해 국내 취약 산업을 보호하거나 관세 인하로 피해를 입은 산업을 지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해 집단들은 관세 인하에 대한 지지를 얻기 어려울 때 비관세 장벽을 통해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대공황 시기, 각국은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며 블록 경제를 형성했고,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의 한 원인이 되었다. 경제학적 관점에서 자유무역은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체계로 여겨지며, 대공황 시대의 블록 경제는 대공황을 심화시켰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유무역은 서구 세계의 중요한 가치가 되었지만, 기업, 노동조합, 농민 등 국내 산업 관계자들은 비교우위에 없는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수입 제한을 요구하며 정치적 압력을 가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환경 보호, 노동자 보호, 생산자 보호 등을 명분으로 수입 제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비관세 장벽은 불가피한 수단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예를 들어,

  • 공중보건을 위해 일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식품이나 농산물 수입 금지
  • 노동 착취를 통해 생산된 제품을 노동 덤핑 상품으로 간주하여 배제 (페어트레이드)
  • 종교적 이유 (계율, 타부)에 따라 규범에 어긋나는 제품 배제
  • 정부 조달 대상을 국내 기업으로 한정
  • 국내 판매 제품에 국내 생산 부품 (로컬 콘텐츠) 사용 의무화
  • 자국 문화 육성을 위한 텔레비전영화 수입 콘텐츠 비율 제한 (스크린쿼터)

등이 과거에 시행되었다.

최근에는

  • 장애인 보호 미흡 국가/지역 제품 배제
  • 환경 오염 대책 미흡 국가/지역 제품 배제
  • 유전 공학 (바이오테크놀로지) 농/축산물 배제
  • 자원 관리 국제 협정 미준수 국가/지역 수산물 (예: 참치) 배제

등의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자유무역 옹호론자들은 이러한 비관세 장벽이 자국의 이익을 위해 비경제적 문제를 악용하는 것이라고 비판하며, 많은 경우 국가 간 분쟁이나 무역 마찰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일반적으로 비관세 장벽 철폐는 소비자에게 상품 가격 인하 및 가성비 향상 등의 이익을 가져다주지만, 식품 제조일 표시 의무 완화와 같이 소비자가 불이익을 겪을 수도 있다.

3. 현대의 비관세 장벽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에 따르면, 가격 및 수량 통제에 기반한 비관세 장벽은 감소하는 반면, 기술무역장벽(TBT) 등 다른 형태의 비관세 장벽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소비자들의 안전하고 환경 친화적인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또한 TBT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비스 분야에서도 비관세 장벽이 중요해지고 있다.

수입에 민감한 산업을 보호할 필요성과 산업 국가 정부가 이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무역 제한으로 인해, 비관세 장벽을 사용하게 되어 국제 무역과 세계 경제 성장에 심각한 장애물이 발생한다. 따라서 비관세 장벽은 기존의 보호 수단인 관세를 대체한 새로운 형태의 보호 수단으로 간주될 수 있다.

대공황 당시, 각국은 보호주의로 기울어 블록 경제가 형성되었고, , , , 수준의 규모를 가진 세력권을 가지지 못한 , , 동유럽 국가들에서 침략적 성향이 대두하여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경제학적 관점에서는 자유무역이 경제성장을 극대화하는 체계이며, 대공황 시대의 블록 경제화는 대공황을 악화시켰다는 견해가 주류를 이룬다.

자유무역이 활성화될수록 장거리 운송으로 인한 많은 에너지 소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자유무역을 제한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푸드 마일리지).

이러한 배경에서 환경 보호, 노동자 보호, 생산자 보호 정책 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입에 대한 제한을 둘 필요가 있으며, 비관세 장벽은 불가피한 악이라는 주장이 생겨났다.

일반적으로 비관세 장벽 철폐로 소비자는 상품 가격 하락 및 가성비 향상과 같은 이점을 얻는다. 반면, 식품의 제조일 표시 의무는 수입 식품에 불리한 비관세 장벽으로 여겨져 유통기한만 표기하는 것으로 제도가 변경된 사례가 있는 것처럼, 다른 측면에서 소비자가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4. 비관세 장벽의 유형

비관세 장벽은 목적, 사례, 결과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5]

알렌 디어도르프(Alan Deardorff) 교수는 비관세 장벽 정책을 세 가지 항목으로 분류한다.[5]

정책목적사례잠재적 결과
보호주의 정책다른 국가를 희생시켜 국내 기업을 돕기 위해수입 할당량; 지역 내용 요구 사항; 공공 조달 관행; 덤핑 방지 법;세계무역기구, 자유무역지역 분쟁 해결 및 기타 무역 포럼에서 제기되는 문제점
지원 정책다른 국가를 희생시키지 않고 국내 기업을 돕기 위해국내 보조금; 산업 구제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은 국가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대응할 수 있습니다(예: 상계관세 및 보조금 부과).
비보호주의 정책인간, 동물 및 식물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고, 환경을 보호하거나 개선하기 위해허가, 포장 및 라벨링 요구 사항; 식품 위생 규정; 식품, 식물 및 동물 검사; 반대되는 수확 또는 어업 방법을 기반으로 한 수입 금지.제한적인 공식적 결과는 공통 표준을 설정하거나 서로 다른 표준을 상호 인정하려는 노력으로 이어집니다.



비관세 장벽의 분류에는 여러 가지 변형이 있다. 어떤 학자들은 내부 세금, 행정 장벽, 건강 및 위생 규정, 정부 조달 정책으로 나누기도 하고, 다른 학자들은 무역에 대한 특정 제한, 관세 및 행정적 수입 절차, 표준, 무역에 대한 정부 참여, 수입에 대한 요금 등으로 더 많은 범주로 나누기도 한다.

특정 국내 산업 부문을 보호하기 위한 수입 제한 방법에는 수입 면허 및 할당, 덤핑 방지 관세 및 상계 관세, 수입 예치금, 자발적 수출 억제, 상계 관세, 최저 수입 가격 제도 등이 있다. 외국 무역을 직접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행정적 관료주의와 관련된 방법으로는 관세 절차, 기술 표준 및 규범, 위생 및 수의학 표준, 라벨링 및 포장, 병입 요구 사항 등이 있다. 이러한 행동은 무역을 제한하는 결과를 낳는다. 수입을 제한하거나 수출을 촉진하는 것을 직접 목표로 하지는 않지만, 그 결과가 종종 무역 제한으로 이어지는 방법도 비관세 장벽에 포함된다.

4. 1. 보호주의 정책

4. 2. 지원 정책

4. 3. 비보호주의 정책

4. 4. 기타 분류

5. 일반적인 비관세 장벽의 예시

터키가 EU와의 관세 동맹에 속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터키산 상품의 유럽 연합 수송에는 광범위한 행정적 간접비가 발생하여 연간 30억 유로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6] 이는 국경에서의 행정적 및 관료적 지연이 불확실성을 증가시키고 재고 유지 비용을 증가시키는 비관세 장벽의 예시이다.

검열 또한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2020년 미국 상원 재정위원회 국제무역·관세·세계경쟁력 소위원회에 출석한 리처드 기어(Richard Gere)는 할리우드가 경제적 이익 때문에 중국 시장 진출에 제한을 받는다고 증언했다.[7][8][9] 그는 달라이 라마의 삶을 다룬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영화 《쿤둔》과 같이, 중국에 민감한 영화는 제작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7][8][9]

엠바고는 특정 상품에 대한 무역을 전면 금지하는 조치로, 생물 안전 또는 정치적인 이유(경제 제재 및 국제 제재 참조)로 부과될 수 있다.[10] 엠바고는 일반적으로 무역에 대한 법적 장벽으로 간주되며, 전쟁 행위로 간주되는 봉쇄와는 구분된다.[11]

외환 관리와 외환 규제는 대외 경제 활동의 비관세 규제 수단 중 중요한 부분이다. 외환 규제는 외화 공급을 제한하거나, 국가에 의한 환율 조작을 통해 국내외 사업자 간 거래를 관리한다. 수입 예치금은 수입자가 수입 상품 가격의 전부 또는 일부에 해당하는 금액을 일정 기간 중앙은행에 무이자로 예치해야 하는 제도이다. 국가 간 자본 이동에 대한 행정적 규제는 주로 양자 협정의 틀 내에서 이루어지며, 법적 체제, 투자 절차, 최혜국대우, 국유화 및 보상, 이익 송금, 분쟁 해결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수입 및 수출 규제의 일반적인 수단으로는 면허와 할당량이 있다. 면허 제도는 국가가 면허 대상 상품 목록에 포함된 수출입 상품의 대외 무역 거래에 대한 허가증을 발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면허는 특정 기간 동안 무제한 수입 또는 수출을 허용하는 일반 면허와 특정 상품 수입업체(수출업체)에게 발급되는 일회성 면허가 있다. 세계무역기구(WTO)는 [https://www.wto.org/english/tratop_e/implic_e/implic_e.htm 수입 면허 절차에 관한 협정]을 통해 수입 면허 절차를 규제하고 있다.

Localization requirement은 수입국이 잠재적 수출업체에게 제품이나 서비스에 일정 수준의 현지 참여를 포함하도록 요구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지정 수입업체, 현지 지분이 과반수인 합작 투자 회사, 지적 재산권 이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표준은 국내 제품이 국내 표준을 충족하도록 하고, 외국 제품이 동일한 표준을 충족하거나 초과하지 않는 한 판매를 제한하기 위해 부과된다. 이러한 표준은 지역 주민의 안전, 건강 및 자연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되지만, 국가가 무역보호주의적 및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13]

할당량은 특정 기간 동안 특정 상품의 수입 및 수출에 부과되는 가치 또는 물리적 측면의 제한이다. 여기에는 특정 국가에 대한 세계 할당량, 계절별 할당량 및 "자발적 수출 억제"가 포함된다. 할당량은 일회성 허가를 통해 수행된다.

"자발적" 수출 제한 협정 및 최저 수입 가격 설정은 경제적 또는 정치적으로 약한 수출국에 대한 주요 서방 국가들의 관행으로, 수출국의 국경에서 무역 장벽이 도입되는 비전통적인 방식이다. "자발적" 수출 제한 협정은 제재 위협 하에 수출국이 특정 상품의 수출을 수입국으로 제한하도록 강요한다. 최저 수입 가격 설정은 수출업체가 해당 가격을 설정한 국가의 수입업체와의 계약에서 이를 엄격히 준수하도록 강제한다.

일본은 생산하지 않는 많은 농산물에 대해 할당량을 유지하는데, 이는 일본 수출품 판매 협상 시 레버리지로 사용되거나, 식량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

수출 할당량은 국내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충분한 상품 재고를 제공하고, 천연 자원 고갈을 방지하며, 외국 시장에 대한 공급을 제한하여 수출 가격을 인상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개발도상국의 경쟁력에 있어 비관세 장벽에 대한 정보 부족은 주요 문제이며, 국제무역센터는 관련 기술 보고서를 발행하고 있다.

6. 비관세 장벽 관련 논쟁

대공황 시기, 각국은 보호주의로 기울어 블록 경제가 형성되었고, , , , 수준의 규모를 가진 세력권을 가지지 못한 , , 동유럽 국가들에서 침략적 성향이 대두하여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경제학적 관점에서는 자유무역이 경제성장을 극대화하는 체계이며, 대공황 시대의 블록 경제화는 대공황을 악화시켰다는 견해가 주류를 이룬다. 따라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유무역이 서구 세계의 명분이 된다. 하지만 기업, 노동조합, 농민 등은 각국 정치가들의 강력한 지지 기반이며, 그중 비교우위에 없는 산업 관계자들은 수입 억제를 요구하며 정치가들에게 압력을 가하게 된다.

자유무역이 활성화될수록 장거리 운송으로 인한 많은 에너지 소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자유무역을 제한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푸드 마일리지).

이러한 배경에서 환경 보호, 노동자 보호, 생산자 보호 정책 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입에 대한 제한을 둘 필요가 있으며, 비관세 장벽은 불가피한 악이라는 주장이 생겨났다.

6. 1. 비관세 장벽 옹호론

공중 보건을 지키기 위해 일정 수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식품이나 농산물의 수입을 허용하지 않거나, 노동자 착취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제품을 노동 덤핑 상품으로 배제하는 경우가 있다. 종교적 이유(계율, 타부)로 규범에 위배되는 제품을 배제하기도 한다.

정부 조달 대상을 사실상 국내 기업으로 제한하거나, 국내 판매 제품의 일정 비율 이상을 국내 생산품(로컬 콘텐츠) 사용을 의무화하는 경우도 있다. 자국 문화 육성을 위해 텔레비전 방영 및 영화 상영에서 수입 콘텐츠 비율 제한을 설정하는 경우도 이에 해당한다.(→스크린쿼터)

최근에는 장애인 보호를 하지 않는 국가·지역에서 제조된 제품을 배제하거나, 환경 오염 대책을 충분히 시행하지 않는 국가·지역에서 제조된 제품을 배제하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유전 공학(바이오테크놀로지)적 방법을 사용한 농/축산물을 배제하거나, 자원 관리 국제 협정을 준수하지 않는 국가·지역에서 어획된 수산물(참치가 대표적인 예)을 배제하는 것도 비관세 장벽 옹호론의 근거로 제시된다.

이에 대해 자유무역의 입장에서는 "''자국의 정당화를 위해 비경제적 문제를 악용하고 있다''"는 반론이 제기되는 경우가 많으며, 많은 사례에서 당사국 간 분쟁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무역 마찰로 발전하고 있다.

6. 2. 비관세 장벽 비판론

자유무역 진영에서는 비경제적 문제를 악용하여 자국 산업을 보호하려는 의도로 비관세 장벽이 사용된다고 비판한다. 비관세 장벽 철폐는 소비자에게 상품 가격 하락 및 가성비 향상과 같은 혜택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식품의 제조일 표시 의무가 유통기한만 표기하는 것으로 변경된 사례처럼, 다른 측면에서 소비자가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7. 각국의 비관세 장벽 사례

7. 1. 일본

일본은 다양한 비관세 장벽을 통해 수입품에 대한 규제를 시행해 왔다. 대규모소매점포법은 토이저러스의 일본 진출과 관련하여 논란이 되었으며, 2000년에 폐지되고 대규모소매점포입지법으로 변경되었다. 주세법은 일본주나 소주에 비해 위스키, 브랜디, 와인 등 양주의 세율을 높게 책정하여 차별적이라는 지적을 받았으나, 2008년 법 개정으로 해소되었다.

자동차 및 오토바이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규제들이 있었다.

  • 리어 포그램프 불인가: 규제 철폐됨.
  • 도어미러 불인가: 수입차는 1970년대 후반에 해금[14][15]되었고, 1983년 3월에 일본차를 포함하여 완전히 폐지됨.
  • 편평타이어 규제: 해외 압력으로 운수성(현 국토교통성)이 허가.[16]
  • 속도 경고음 장착 의무: 1986년 3월 폐지.
  • 대형 자동 이륜차운전면허증의 운전면허시험장 외 취득 불가: 1996년 9월 폐지.
  • 대형 트럭 속도 표시등 장착 의무: 1999년 폐지.
  • 고속도로에서 일반 자동 이륜차 이상 오토바이 2인승 금지: 2005년 원칙적으로 폐지( 수도고속도로 일부 노선 제외).
  • 경자동차 규격: TPP 가입과 관련하여 미국 연방 정부가 비관세 장벽이라고 주장했지만, 다이하츠 회장은 이를 부인.
  • 일반 승용차(3넘버)에 대한 고액의 자동차세: 1989년 개정되었으나, 추가 인하 요구가 있음.


트론 프로젝트의 경우, BTRON영어의 통상 문제에서 볼 수 있듯이, 운영체제(OS)와 관련된 통상 마찰이 있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일본의 이러한 비관세 장벽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의 일본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7. 2. 독일

독일은 맥주순수령을 통해 수입품 및 수출품에 대한 규제를 철폐했다.

8. 한국의 대응 과제

참조

[1] 논문 Protection Without Discrimination https://academic.oup[...] 2023
[2] 웹사이트 Non-tariff barriers http://www.sadc.int/[...]
[3]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WTO - Non-tariff barriers: red tape, etc https://www.wto.org/[...] World Trade Organization 2019-01-01
[4] 웹사이트 Trade costs of non-tariff measures now more than double that of tariffs {{!}} UNCTAD https://unctad.org/n[...] 2019-10-14
[5] 간행물 Easing the burden of non-tariff barriers https://www.usaid.go[...] International Trade Center 2012-10-01
[6] 뉴스 Turkey border gridlock hints at pain to come for Brexit Britain: Truck drivers bemoan long queues and endless paperwork needed to enter EU https://www.ft.com/c[...] Financial Times 2017-02-16
[7] 뉴스 Hollywood Is "Increasingly Normalizing" Self-Censorship for China, Report Finds https://www.hollywoo[...] The Hollywood Reporter 2020-08-05
[8] 뉴스 China is turning American movies into propaganda. Enough is enough. https://www.washingt[...] 2020-08-20
[9] 뉴스 Trade and Online Censorship Challenges https://www.c-span.o[...] C-SPAN 2020-06-20
[10] 웹사이트 Trade Embargoes Summary http://darwin.bio.uc[...] darwin.bio.uci.edu 2013-04-08
[11] 웹사이트 Blockade as Act of War http://www.crimesofw[...] Crimes of War Project
[12] 웹사이트 Localization Barriers to Trade https://ustr.gov/tra[...]
[13] 논문 The politics of rejection: Explaining Chinese import refusals https://onlinelibrar[...] 2024
[14] 뉴스 【説明できる?】なぜフェンダーミラーは消えたのか JPNタクシーは今も採用 意外な真相 https://www.autocar.[...] AUTOCAR JAPAN 2019-12-08
[15] 뉴스 クルマにまつわる奇妙な法律を紹介 かつて赤や白が使用禁止だったことも https://news.livedoo[...] ライブドアニュース(くるまのニュース) 2020-08-30
[16] 웹사이트 「低偏平タイヤ」を採用するクルマはなぜ増えた? その理由と歴史を振り返る https://www.autom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